맨위로가기

이토 아키미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토 아키미쓰는 일본의 전 야구 선수, 코치 및 구단 프런트 직원이다. 데이쿄 고등학교, 혼다 기술 연구소를 거쳐 1985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1998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로 활동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야구에서 일본 국가대표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88년에는 다승왕을 차지했다. 은퇴 후에는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코치, 수석 코치, 2군 감독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구단 프런트에서 스카우트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이순철
    이순철은 해태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이자 감독, 해설가로, 1985년 신인왕 수상 및 세 차례 도루왕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은퇴 후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이강돈
    이강돈은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빙그레 이글스에서만 활동한 전 KBO 리그 외야수로, 정교한 타격과 두 차례 최다 안타, 사이클링 히트 기록, 그리고 다수의 골든글러브 수상 경력을 가진 선수이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이순철
    이순철은 해태 타이거즈와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약한 야구 선수이자 감독, 해설가로, 1985년 신인왕 수상 및 세 차례 도루왕 등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으며, 은퇴 후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도쿄도 출신 야구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도쿄도 출신 야구 선수 - 스기시타 시게루
    스기시타 시게루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코치, 감독으로 투수로서 활약했으며,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6년 연속 20승 이상을 기록하며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고, 일본 시리즈 MVP와 사와무라 에이지 상을 수상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토 아키미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토 아키미쓰
원어 이름伊東 昭光
로마자 표기Akimitsu Ito
출생일1963년 4월 2일
출생지도쿄도 에도가와구
신장176cm
체중76kg
포지션투수 / 코치
투타우투우타
선수 경력
고등학교데쿄 고등학교
실업혼다 기연
프로야쿠르트 스왈로스 (1986 - 1998)
드래프트
지명 연도1985년
지명 순위야쿠르트 스왈로스 1순위
첫 출장1986년 4월 6일
마지막 출장1998년 10월 8일
감독/코치 경력
야쿠르트 스왈로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9 - 2007, 2011 - 2015)
수상 경력
센트럴 리그 우승1988년
컴백 선수상1992년
NPB 올스타1988년
일본 시리즈 우승1993년
1995년
1997년
올림픽 메달
종목남자 야구
대회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메달1984 로스앤젤레스 금메달
NPB 성적 (통산)
승-패87승 76패
평균 자책점4.01
탈삼진632
세이브21
외부 링크
Baseball ReferenceAkimitsu Ito

2. 프로 입단 전

이토 아키미쓰는 중학교 시절 리틀 리그 전일본의 에이스로서 미국 원정길에 올랐다.[14] 데이쿄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80년 봄 제52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결승에 진출했으나, 나카니시 기요오키가 에이스로 있던 고치 상업고등학교에 패해 준우승했다.[14] 그해 여름 동(東)도쿄 대회 준결승에서 와세다 실업의 1학년 에이스 아라키 다이스케에게 3안타 완봉패를 당하며 고시엔 출전이 좌절됐다.[3]

혼다 기연 소속으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야구 일본 국가대표팀에 발탁돼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4] 1985년 사회인 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에서 혼다 기연의 첫 우승에 기여했고, 4경기에서 완투, 평균 자책점 0.79를 기록하며 MVP를 차지했다.[14]

2. 1. 유소년 시절

이토 아키미쓰는 중학교 시절에 리틀 리그 전일본의 에이스로서 미국 원정길에 올랐다.[14] 데이쿄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80년 봄에 열린 제52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결승까지 진출했는데, 결승전에서는 나카니시 기요오키가 에이스로 있던 고치 상업고등학교와 맞붙었다가 패해서 준우승에 그쳤다.[14] 그해 여름에 열린 동(東)도쿄 대회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와세다 실업과의 준결승에서 1학년 에이스 아라키 다이스케에게 3안타로 완봉패를 당하며 0대 4로 패배하여 고시엔 출전을 놓쳤다.[3]

2. 2. 고교 시절

이토 아키미쓰는 중학교 시절에 리틀 리그 전일본의 에이스로서 미국 원정길에 올랐다.[14] 데이쿄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80년 봄에 열린 제52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결승까지 진출했는데, 결승전에서는 나카니시 기요오키가 에이스로 있던 고치 상업고등학교와 맞붙었다가 패해서 준우승에 그쳤다.[14] 우승 후보로 거론되었던 여름의 동(東)도쿄 대회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와세다 실업과의 준결승에서 1학년 에이스 아라키 다이스케에게 3안타로 완봉패를 당하며 0대 4로 패배하여 고시엔 출전을 놓쳤다. 경기 후 "이런 모습으로 3학년을 졸업하게 하다니, 정말 죄송해서…"라며 오열했다.[3] 연예인 이시바시 타카아키는 야구부 2년 선배이다.

2. 3. 사회인 야구 시절

혼다 기연에 소속되어 1984년에는 에이스로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야구 일본 국가대표팀 선수로 발탁돼 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4] 1985년 사회인 야구 일본 선수권 대회에서는 혼다 기연의 첫 우승에 기여했고, 이토는 4경기에서 완투하며 평균 자책점 0.79의 성적을 거둬 MVP를 차지했다.[14] 같은 해 프로 야구 드래프트 1순위로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 등번호는 '''18'''번으로 배정됐다.

3. 프로 야구 선수 시절

1985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한큐, 롯데, 야쿠르트 3개 구단으로부터 1순위 지명을 받아 추첨 결과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했다. 담당 스카우트는 가타오카 히로오였으며, 등번호는 '''18'''번이었다.

프로 야구 선수 시절의 통산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소속팀경기 수선발 등판완투완봉무4구승리패배세이브홀드승률타자투구 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고의사구사구탈삼진폭투보크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WHIP
1986일본어야쿠르트34172004110--.267534125.0136173435720063574.101.36
1987일본어313161114110--.560842196.02112658568711103934.271.37
1988일본어55000018917--.667509122.2120102534724046433.151.18
1989일본어22142114111--.267468101.212694373431066575.051.66
1990일본어31000020--.000459.1133501500887.711.93
1992일본어2920511751--.583594146.0130154424850052452.771.19
1993일본어26238131342--.765721173.2162204516942069603.111.19
1994일본어29252108100--.444701155.2176207057732092844.861.58
1995일본어34132001080--.556434100.2109163022381055494.381.38
1996일본어228000320--.60031972.27692814271039394.831.43
1997일본어97000310--.75016539.2435702150019194.311.26
1998일본어311000320--.60020446.15471912212026203.881.58
통산:12년3251602756877621--.53455361289.1135615740830466321416385744.011.37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3. 1.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절 (1986년 ~ 1998년)

프로 1년차인 1986년부터 선발 로테이션에 들어갔고, 2년차인 1987년에는 1군 공식전에서 팀 내 1위인 14승을 기록했다.[14] 3년차인 1988년에는 부상을 당한 다카노 히카루를 대신하여 세키네 준조 감독에게서 마무리 투수로 발탁되었고, 그 해에 개장한 도쿄 돔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프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이후 구원으로만 18승을 올리며 올스타전에 처음으로 출전했다. 시즌 종료 시점에서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지 못했지만, 주니치 드래곤스의 오노 가즈유키와 함께 다승왕 타이틀을 차지했다.[14]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지 못한 투수가 다승왕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센트럴 리그 사상 최초였으며,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운 투수와 그렇지 않은 투수가 동시에 동일한 타이틀을 차지하는 보기 드문 경우였다.

1989년에는 선발로 복귀했지만, 전년도 과다 등판의 영향으로 극심한 부진에 빠졌고, 이후 자신의 집 계단에서 넘어져 발이 골절되는 사고를 당했다. 이듬해 1990년에도 오른쪽 어깨 부상으로 인해 단 한 번도 승리 투수가 되지 못했고, 1991년에는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1군 등판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러나 1992년에는 시즌 7승을 올리며 부활했고, 10월 10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팀의 리그 우승을 확정짓는 순간 마운드에 있었다. 같은 해 컴백상을 수상했다.

1993년에는 5년 만에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하여 팀 내 1위인 13승을 올리면서, 15년 만의 팀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1994년 이후에는 선발과 구원 역할을 겸하며 1군 투수진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1996년 5월 1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6차전)에서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친 타구를 오른손으로 잡아 더블 플레이를 성공시켰지만, 오른손이 골절(당일은 타박상으로 진단받았으나 다음날 골절상으로 밝혀짐)되는 부상을 당했다. 전치 2개월의 중상으로 팀 전력에서 이탈했는데, 이 부상으로 오른손 악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은퇴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결국 1998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14]

4. 은퇴 후

이토 아키미쓰는 선수 은퇴 후 지도자와 프런트 경력을 모두 경험했다. 야쿠르트에서 2군 투수 코치, 1군 투수 코치, 1군 수석 코치를 역임했고, 2군 감독을 맡기도 했다. 특히 투수 코치 시절에는 이시이 히로토시, 이가라시 료타 등 뛰어난 투수들을 육성하여 팀을 일본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2018년부터는 오가와 쥰지의 뒤를 이어 구단 편성 부장으로 일했다.

4. 1. 지도자 경력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야쿠르트 2군 투수 코치를 맡았고,[14] 2001년부터 2005년까지는 1군 투수 코치를,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1군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타자 출신 감독인 와카마쓰 쓰토무를 보좌하면서 투수 기용 등은 이토가 전면적으로 책임졌다. 특히 이시이 히로토시, 이가라시 료타와 같은 속구파 투수들을 주전으로 기용하고, 다카쓰 신고와 같은 베테랑 투수를 재생시키는 등 구원 투수진의 정비와 육성에 실적이 있었다. 팀의 구원 투수진을 12개 구단 가운데 1, 2위를 다툴 정도로 안정감 있게 키워 2001년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르는데 크게 기여했다. 젊은 투수들에게는 엄격한 자세와 조언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코치로서 매우 엄격하게 지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투수 코치를 맡았던 기간에는 1군에서 투수 생명이 끝날 정도의 부상을 입은 선수는 거의 없었다).

2006년부터는 투수 코치 겸임 수석 코치로서 선수 겸임 감독인 후루타 아쓰야를 지원했다. ‘겸임 감독의 수석 코치’라는 전례가 거의 없는 책임이 무거운 입장에서 투수 코치도 겸했기 때문에 투수진 정비나 선수 기용에 전념할 수 없어 고전했고, 후루타 아쓰야와 함께 2007년 시즌 종료 후 야쿠르트에서 퇴단했다. 그러나 그 경험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2008년 1월 1일자로 구단 편성부로 발령받아 2010년까지 근무했다.

2011년에는 2군 투수 코치로 현장에 복귀, 2013년에 팀의 이스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그 수완과 1군 수석 코치의 경험을 살려[15] 2014년에 2군 감독[16]으로 부임했다. 2015년에는 시즌 중이던 6월 29일에 열린 ‘사무라이 재팬 대학 일본 대표 대 NPB 선발’에서 NPB 선발팀 코치를 맡았고, 시즌 종료 후 2군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군 감독에서 물러난 후에는 1군 코치 시절 주력 타자였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1군 감독 알렉스 라미레스가 이토에게 1군 투수 코치를 맡아달라고 요청했다.[17] 하지만 이토는 야쿠르트 구단에 소속된 채로 6년 만에 구단 편성부에 복귀했다. 2016년부터는 ‘편성 그룹 수석’이라는 직함으로 프로 스카우트를 맡게 됐다.[18]

4. 2. 프런트 경력

1999년 야쿠르트 2군 투수 코치(1999년 ~ 2000년)[14]를 시작으로 1군 투수 코치(2001년 ~ 2005년), 1군 수석 코치(2006년 ~ 2007년)를 역임했다. 타자 출신 감독인 와카마쓰 쓰토무를 보좌하면서 투수 기용 등은 이토가 전면적인 책임을 맡았다. 특히 구원 투수진 정비 및 육성에 실적이 있었고, 이시이 히로토시, 이가라시 료타와 같은 속구파 투수를 주전으로 기용하고 다카쓰 신고 등 베테랑 투수의 재활에도 힘을 쏟았다. 팀의 구원 투수진을 12개 구단 가운데 1, 2위를 다툴 정도로 안정감 있게 키웠으며, 2001년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코치로서 매우 엄격하게 지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젊은 투수들에게 엄격한 자세와 조언을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투수 코치를 맡았던 기간에 1군에서 투수 생명이 끝날 정도의 부상을 입은 선수는 거의 없었다).

2006년부터는 투수 코치 겸임 수석 코치로서 선수 겸임 감독인 후루타 아쓰야를 지원했다. ‘겸임 감독의 수석 코치’라는 전례가 거의 없는 책임이 무거운 자리에서 투수 코치도 겸했기 때문에 투수진 정비나 선수 기용에 전념하기 어려웠고, 후루타와 함께 2007년 시즌 종료 후 야쿠르트에서 퇴단했다. 그러나 그 경험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이듬해인 2008년 1월 1일 자로 구단 편성부로 발령받아 2010년까지 근무했다.

2011년에는 2군 투수 코치로 현장에 복귀, 2013년에 팀의 이스턴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그 수완과 1군 수석 코치 경험을 살려[15] 2014년에 2군 감독[16]으로 부임했다. 이듬해 2015년에는 시즌 중이던 6월 29일에 열린 ‘사무라이 재팬 대학 일본 대표 대 NPB 선발’에서 NPB 선발팀 코치를 맡았고, 시즌 종료 후 2군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군 감독에서 물러난 후에는 1군 코치 시절 주력 타자였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1군 감독 알렉스 라미레스가 이토에게 1군 투수 코치를 맡아달라고 요청했다.[17] 하지만 이토는 야쿠르트 구단에 소속된 채로 6년 만에 구단 편성부에 복귀했다. 2016년부터는 ‘편성 그룹 수석’이라는 직함으로 프로 스카우트를 맡게 됐다.[18]

5. 상세 정보

이토 아키미쓰는 혼다 기술 연구소 소속으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85년 일본 선수권에서 혼다 기술 연구소의 첫 우승에 기여하며 MVP를 수상했다.[3]

프로 선수 은퇴 후에는 야쿠르트에서 코치와 프런트 임원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2007년까지 2군 투수 코치, 1군 투수 코치, 헤드 겸 투수 코치를 맡았으며, 2006년부터는 선수 겸임 감독 후루타 아츠야를 보좌했다.[1] 2008년부터 구단 편성부에서 일했고,[1] 2011년 2군 투수 코치로 복귀,[1] 2013년 이스턴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1] 2014년부터 2군 감독을 맡았으나,[1] 2015년 시즌 종료 후 퇴임했다.[1] 이후 6년 만에 편성부로 복귀하여,[1] 2016년부터 "편성 그룹 치프"라는 직함으로 프로 스카우트를 담당하고 있다.[1] 오가와 쥰지 SD가 감독으로 복귀하면서 2017년부터 편성 부장을 맡고 있다.[1]

수상 경력으로는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 1회(1988년), 컴백상(1992년), 월간 MVP 1회(1993년 9월)가 있다. 1988년에는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최다 승리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개인 기록으로는 1986년 4월 6일 첫 탈삼진, 1986년 5월 21일 첫 승리, 1987년 6월 28일 첫 완봉승, 1988년 4월 8일 첫 세이브, 1994년 4월 14일 첫 홈런, 1994년 9월 4일 1000 투구 이닝을 달성했다. 올스타전에는 1회(1988년) 출장했다.

등번호는 다음과 같다.

연도등번호
1986년 ~ 1998년18
1999년 ~ 2007년72
2011년 ~ 2015년92


5. 1. 선수 경력

1985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한큐, 롯데, 야쿠르트 3개 구단으로부터 1위 지명을 받아 추첨 결과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게 되었다. 담당 스카우트는 가타오카 히로오였으며, 등번호는 18번이었다.

1986년부터 1군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

1987년에는 1군 공식 경기에서 팀 내 최다인 14승을 거두었다.

1988년에는 부상당한 다카노 히카루를 대신해 클로저로 발탁되어 그해 개장한 도쿄 돔에서의 개막전에서 1군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모든 경기를 구원 등판하며 18승을 거두는 동시에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시즌 종료 시점에서 규정 투구 이닝을 밑돌았지만 규정 투구 이닝을 넘은 오노 가즈유키 (주니치 드래곤스)와 함께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 타이틀을 획득했다. 규정 투구 이닝 미달로 선발 등판이 없었던 투수가 이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같은 리그 사상 처음이었다.[4] 규정 투구 이닝에 도달한 투수와 미달한 투수가 같은 타이틀을 획득한 것도 이례적이었다.

1989년에는 선발로 복귀했으나 자택 계단에서 넘어져 다리가 골절되었다.

1990년에도 오른쪽 어깨 부상으로 승리 없이 시즌을 마쳤다.

1991년에는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1군 공식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다.

1992년에는 7승을 거두며 부활했다. 10월 10일 한신 타이거스전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팀의 리그 우승을 마운드에서 맞이했으며, 시즌 종료 후 컴백상을 수상했다. 일본 시리즈에서는 2차전[5], 3차전[6], 5차전[7], 6차전[8]에 등판해 롱 릴리프를 훌륭하게 소화하며 2승을 거두었다.

1993년에는 팀 내 최다인 13승을 거두어 팀의 리그 2연패와 15년 만의 일본 시리즈 제패에 기여했다.

1994년에는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지만 안정감이 부족했다.

1995년 이후에는 선발과 구원의 역할을 겸하며 1군의 투수진을 계속 지원했다.

1996년 5월 1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요시무라 사다아키의 타구를 오른손으로 막다가 골절(기록은 병살타)되었다. 전치 2개월 진단을 받아 전력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게다가 골절의 영향으로 오른손의 악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1998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5. 2. 국가 대표 경력

혼다 기술 연구소 소속 에이스로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야구 일본 대표로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3] 1985년 일본 선수권에서는 혼다 기술 연구소의 첫 우승에 기여했고, 4경기에서 완투, 평균 자책점 0.79의 성적을 거두며 MVP를 획득했다.[3]

5.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야쿠르트에서 2군 투수 코치(1999년 - 2000년), 1군 투수 코치(2001년 - 2005년), 헤드 겸 투수 코치(2006년 - 2007년)를 역임했다. 2006년부터는 1군 헤드 겸 투수 코치로서 선수 겸임 감독 후루타 아츠야를 보좌했다.[1]

2008년부터 구단의 편성부원으로 전직했고,[1] 2011년에 2군 투수 코치로 현장에 복귀했다.[1] 2013년 이스턴 리그 우승에 공헌했으며,[1] 2014년부터 2군 감독에 취임했다.[1]

2015년에는 시즌 중 6월 29일에 개최된 "사무라이 재팬 대학 일본 대표 대 NPB 선발"에서 NPB 선발팀의 코치를 맡았지만, 시즌 종료 후 2군 감독을 퇴임했다.[1]

2군 감독 퇴임 직후, 1군 투수 코치 시절 주력 타자였던 알렉스 라미레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군 감독으로서 이토를 1군 투수 코치로 초빙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이토는 야쿠르트 구단에 남아서 6년 만에 편성부로 복귀했다.[1]

2016년부터는 "편성 그룹 치프"라는 직함으로 프로 스카우트를 맡고 있다.[1]

오가와 쥰지 SD가 2018년 시즌부터 감독으로 복귀함에 따라, 2017년 시즌까지 편성 톱이었던 이토가 편성 부장에 취임했다.[1]

5. 4. 수상 및 타이틀


  • 센트럴 리그 최다 승리: 1회(1988년) ※ 규정 투구 이닝에 도달하지 못한 선수가 획득한 것은 사상 최초 (다른 선수로는 시모야나기 쓰요시, 이시카와 슈타가 있다)
  • 컴백상(1992년)
  • 월간 MVP: 1회(투수 부문: 1993년 9월)

5. 5. 개인 기록

1986年일본어 4월 6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고라쿠엔 구장)에서 7회말 1사에 두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1⅔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같은 날 8회말 아리타 슈조로부터 첫 탈삼진을 기록했다. 1986年일본어 4월 29일, 한신 타이거스 4차전(한신 고시엔 구장)에 첫 선발 등판하여 4⅓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 1986年일본어 5월 21일, 한신 타이거스 9차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5이닝 2실점으로 첫 승리 및 첫 선발 승리를 거두었다. 1986年일본어 7월 4일, 주니치 드래건스 13차전(하마마츠 구장)에서 9이닝 2실점으로 첫 완투 승리를 기록했다. 1987年일본어 6월 28일, 주니치 드래건스 8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첫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 1988年일본어 4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1차전(도쿄 돔)에서 7회말 두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3이닝 무실점으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1994年일본어 4월 1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모치즈키 히데미치에게서 솔로 홈런을 기록하며 첫 홈런을 달성했다. 1994年일본어 9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 23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1회말 3사에서 1000 투구 이닝을 달성했다(역대 257번째). 올스타전에는 1회(1988년) 출장했다. 규정 투구 이닝 미달성 상태에서 최다승을 기록한 것은 역대 최초이다.

5. 6. 등번호

연도등번호
1986년 ~ 1998년18
1999년 ~ 2007년72
2011년 ~ 2015년92


참조

[1] 웹사이트 Akimitsu Ito https://www.baseball[...] 2020-05-09
[2]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3] 뉴스 夏燃える 26 泣きじゃくるエース 『選抜』準優勝エース 日刊スポーツ 1980-07-29
[4] 웹사이트 199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2戦) http://npb.jp/bis/sc[...] 2023-11-02
[5] 웹사이트 199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3戦) http://npb.jp/bis/sc[...] 2023-11-02
[6] 웹사이트 199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5戦) http://npb.jp/bis/sc[...] 2023-11-02
[7] 웹사이트 1992年度日本シリーズ 試合結果(第6戦) http://npb.jp/bis/sc[...] 2023-11-02
[8] 웹사이트 ヤクルト 来季2軍監督に伊東昭光氏 ノムさん息子も入閣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3-10-23
[9] 웹사이트 2014年コーチングスタッフについて https://www.yakult-s[...]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公式サイト 2013-10-23
[10] 웹사이트 侍J大学代表vsNPB選抜 メンバー発表 https://npb.jp/news/[...] 日本野球機構公式サイト 2015-04-28
[11] 웹사이트 DeNA新監督ラミちゃん、伊東氏に入閣打診!燕コーチ時代から信頼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 2015-10-20
[12] 웹사이트 ヤクルト、伊東昭光氏が6年ぶりフロント復帰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12-24
[13] 뉴스 【ヤクルト】来季新監督に小川SD 土橋氏の入閣も検討 https://web.archive.[...] 報知新聞社 2017-10-04
[14] 서적 프로 야구 인명 사전 2003 니치가이 어소시에이츠 2003
[15] 웹사이트 ヤクルト 来季2軍監督に伊東昭光氏 ノムさん息子も入閣 http://www.sponichi.[...] 스포츠 닛폰 2013-10-23
[16] 웨이백 관련 내용 http://www.yakult-sw[...]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홈페이지 20131210214006
[17] 웹사이트 DeNA新監督ラミちゃん、伊東氏に入閣打診!燕コーチ時代から信頼 http://www.sanspo.co[...] 산케이 스포츠 2015-10-20
[18] 웹사이트 ヤクルト、伊東昭光氏が6年ぶりフロント復帰 http://www.nikkanspo[...] 닛칸 스포츠 2015-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